* 펀드란
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모금한 실적 배당형 투자 기금.[1] 주식, 채권,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를 위해 고객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구성하는 일정 금액의 자금 운용 단위를 가리킨다
* Pros
- 투자의 수익금을 수익이 나는 만큼 투자자에게 돌려준다.
즉 예, 적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음.
- 전문가를 통해 투자하므로 직접투자에 비해 안전(?)하다고 볼 수 있음
- 소액, 분산 투자가 가능하다
* Cons
- 펀드는 예금과 달리 예금자보호법(1인당 5,000만원 한도 보장)의 보호를 받을 수 없음
펀드 운용구조를 통해 투자자의 자금을 보호하는 방식을 사용
* 펀드 종류
투자 대상에 따라 나눠보면 다음과 같다
- 증권펀드 - 주식형 : 주식에 60% 이상 투자
- 혼합형 - 주식혼합형펀드 : 주식에 50% 이상 투자
- 채권혼합형펀드 : 채권에 50% 이상 투자
- 채권형 : 채권에 60% 이상 투자
- 부동산펀드
- 실물펀드
- 기타 등등.
* 펀드 종류 상세
- 투자금 납입방식에 따라 : 적립식, 거치식
- 지역에 따라 : 국내, 해외(국내법에 의해 만들어졌다면 역내펀드, 외국법에 의해 만들어졌다면 역외펀드)
- 스타일에 따라 : 배당형, 가치형, 성장형, 인덱스형(지수에 따라), 전환형(2개 펀드간 전환이 가능), 엄브렐러형(3개 펀드간 전환이 가능)
- 펀드자금 모집방법에 따라 : 공모형, 사모형
- 세제혜택에 따라 : 절세형, 소득공제형
- 투자자금 회수방법에 따라 : 개방형, 폐쇄형
- 추가가입 여부에 따라 : 추가형, 단위형
* 증권펀드 상세
- 대부분의 사람들이 투자하는 펀드의 종류
- 주식 비율이 높을 수록 고수익, 고위험의 특성을 가짐
- 주식형 펀드는 운용전략에 따라
ㅇ 배당형 : 배당을 많이 주는 주식에 투자(주가 등락에 신경쓰고 싶지 않다면 선택)
ㅇ 가치형 : 실제 기업 가치보다 저평가된 주식에 주로 투자(상동)
ㅇ 성장형 : 성장이 예상되는 산업에 주로 투자(주가 등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스타일이 선택하면 좋음)
- 채권에 대한 고려사항
ㅇ 단기채권, 장기채권을 확인할 것, 장기채권은 금리 변동에 민감할 수 있음
ㅇ 채권 종류와 신용등급을 확인할 것(펀드 평가회사 ex. 제로인, 모닝스타코리아 확인)
* 펀드 규모에 따라
- 100억 미만이면 소형
- 100~1,000억이면 중형
- 1,000억 이상이면 대형
- 5,000억 이상이면 초대형
- 규모가 작을수록 발빠른 대응이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보수가 적어 자산운용회사 관리가 소홀할 우려가 있음
- 규모가 클수록 분산투자 운용에 유리하지만 변화에 탄력적 대응이 어려움
* 펀드 투자 advice
- 환매, 손절매에 대한 원칙을 세우고 지켜라
- 초심자라면 적립식 펀드로 중형 이상의 펀드로 시도해보는 것이 좋다
- 채권형 펀드에 분산투자 하는것으로 시작해보자
- 분산 노하우
ㅇ 적립식 펀드로
ㅇ 지역 분산, 국내, 해외
ㅇ 대상 분산, 주식, 혼합, 채권
* 펀드 운용 구조
[투자자] - [판매회사] - [수탁회사]
| |
- [자산운용회사] ---
* 판매회사 평가 참고
- 금융감독원 홈페이지(www.fss.or.kr) 상단 보도홍보 - 보도자료 - 미스터리 검색 - 펀드 미스테리 쇼핑 결과 확인 가능
-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의 평가결과도 참고 가능
- 직접 상품비교해보는것도 좋다
* 펀드 비용의 종류
- 수수료
ㅇ 선취 판매 수수료 : 펀드 가입시 내는 비용
ㅇ 후취 판매 수수료 : 펀드 환매 시 내는 비용(선취, 후취 선택)
ㅇ 환매 수수료 : 펀드 환매를 너무 일찍(보통 3개월이내) 할 때 내는 비용
- 보수
ㅇ 판매보수 : 판매회사에 내는 보수
ㅇ 운용보수 : 자산운용회사에
ㅇ 수탁보수 : 수탁회사에
* 수수료 보수 절약법
- 총 비용이 낮은 펀드 선택 : 운용보수보다 판매보수가 낮은 펀드를 선태갛는 것이 유리
- 창구 가입보다 인터넷가입이 수수료에 유리
- 펀드의 클래스 확인 : 2년 이상 중장기에는 클래스A, 2년 이내 단기적 투자에는 클래스C 가 좋음
* 펀드 이름을 보고 파악하기
대신 / 성장중소형주 / 증권 / 투자신탁 / [주식] / ClassA
1 2 3 4 5 6
1 자산운용사 : 펀드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회사
2 스타일(운용전략)
3 운용자산
4 법적속성
5 운용대상
6 판매수수료